404, 500 등 에러가 발생했을 때 처리할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web.xml에 URL 매핑 에러가 발생했을 때 어떤 URL로 redirect 할 것인지 web.xml에 작성할 수 있습니다. Servlet 버전 3.0 이상이어야 이용 가능한데, 요즘엔 걱정 안해도 될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그 아래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아래처럼 error-page 태그 하위에 어떤 에러인지, 어디로 매핑할지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errors 위와 같이 작성하면 default로 사용할 에러 처리 URL을 만든 것입니다. 만약 404, 500을 따로 처리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에러 종류와 함께 error-page 태그를 여러개 작성하면 됩니다. 404 /error/no-..

서버에서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 혹은 서버 에러가 났을 때 Nginx 설정만으로도 에러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설정하는 법은 nginx.conf 내의 http를 수정하면 됩니다. http { include /etc/nginx/mime.types; default_type application/octet-stream; log_format main '$remote_addr - $remote_user [$time_local] "$request" ' '$status $body_bytes_sent "$http_referer" ' '"$http_user_agent" "$http_x_forwarded_for"'; access_log /var/log/nginx/access.log main; sendfile 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