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부쩍 모놀리틱 아키텍쳐에서 MSA 기반의 아키텍쳐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기업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RDBMS를 사용하느냐 NoSQL 계열의 DBMS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런 기준을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MSA로 넘어가기 위해 어떤 과정들을 고민해보고, JPA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어떻게 시도해봄직만 한지 구분을 지어보려고 합니다. 제 기준으로 위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크게 2가지 부류로 나뉩니다. RDBMS(MySQL, Oracle, MSSQL, PostgreSQL 등) NoSQL(Redis, Cassandra, MongoDB 등) 여기서는 개발 환경이나 프레임워크, 언어에 따라 그 종류도 다양해질 수 있습니다. Java or Kotlin 계열..

블로그 글을 찾아보다가 MSA를 선택하게 된 카카오톡 이모티콘 서비스의 글이 너무 맘에 들어 퍼오게 되었습니다 :) 원본은 아래 링크에 게시되어 있고, 이 글을 통해 서버 관리를 하거나 앞으로 MSA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https://tech.kakao.com/2021/09/14/msa 이모티콘 서비스는 왜 MSA를 선택했나? 성장을 위해 달려오느라 거대해진 이모티콘 서비스와 그만큼 많이 쌓인 기술 부채를 두고, 천년만년 행복하게 개발하려는 구성원들이 선택한 MSA. 기존 레거시 서비스가 단일 서버로 너무 큰 코 tech.kakao.com 아래 내용은 해당 글에 작성되어 있는 내용을 그대로 작성해보았습니다. 성장을 위해 달려오느라 거대해진 이모티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