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최근에 대용량 파일 업데이트 작업 중 맥북 로컬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클라우드 서버 안에서는 파일 업로드가 안되고 아예 로그 출력도 안되는 증상이 있어서 대응하면서 알아본 내용을 토대로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서버에서는 nginx를 라우터 뒤 및 컨트롤러 앞 영역에 위치시키고 로드 밸런싱과 포트 라우팅을 주로 진행해주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nginx 를 기반으로 적어볼까 합니다.
가장 먼저 nginx 설치가 완료되고 도메인이 잘 적용이 되었다면 그 다음에 적용해야 할 부분입니다.
Nginx 설치 및 설정법 : https://abbo.tistory.com/170
Ubuntu 의 경우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
Amazon Linux 계열의 경우
/etc/nginx/nginx.conf
파일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http {
server {
...
listen 80;
server_name xxxx.net;
client_max_body_size 10G; // 여기 부분에 추가
}
server {
...
listen 443 default_server ssl;
server_name xxxx.net;
client_max_body_size 10G; // 여기 부분에 추가
}
}
용량 설정하기
10G 는 10기가 바이트를 의미하는데 이 값이 너무 크다면 더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표기 | 용량 |
1T | 1 테라 바이트 := 1000기가 바이트 |
1G | 1 기가 바이트 := 1000메가 바이트 |
1M | 1 메가 바이트 := 1000 바이트 |
1000 (상수) | 1000 바이트 |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Redis와 부가 어노테이션 설정하기 (0) | 2022.12.16 |
---|---|
[Spring] 캐시의 추상화와 사용법 (@Cacheable, @CachePut, @CacheEvict) (0) | 2022.12.16 |
[AWS] IAM 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이메일 변경하기 (4) | 2022.12.09 |
[JPA] Repository 내에서 Join 사용하기 (2) | 2022.12.07 |
Spring Boot 3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0) | 2022.11.13 |
좋은 에러 메시지를 만드는 6가지 원칙 (6) | 2022.10.24 |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