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요새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AWS가 핫한 솔루션 중 하나로 급부상하였습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제가 생각해본 이유입니다. 

  1. 서버리스라고 해서 우리는 홈페이지 하나를 보기 위해서 서버가 필요한 부분을 줄여주었습니다. 지금 보고 계신 이런 티스토리 블로그 또한 모두 서버 위에 올라가있는 데이터를 보기 쉽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제공해줍니다.
  2. 이런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을 줄여줍니다. 이전에는 이런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아서 물리 서버를 구매하고 통신사에 전화를 해서 내가 이렇게 공용으로 쓸 꺼니까 등록해줘 라고 얘기했습니다.
  3.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클라우드가 발달하였고, 이 클라우드의 원천이 사실상 AWS가 시작이기도 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MS Cloud, Google 에서 제공하는 Google Drive, Apple 에서 제공하는 iCloud 등이 이런 모델의 시초였지만, 이는 단지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실제로 연산은 불가능했습니다. 
  4. 연산을 할 수 있는 컴퓨터는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나 PC, 노트북 정도밖에 없었습니다. 기껏해야 노트북으로 우리 집에 있는 원격 접속을 해서 파일을 옮기고 열고 화면으로 보는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을 개선해주었습니다. 

 

AWS를 사용하는 것은 정말 편합니다. 이전에는 서버리스 모델만 제공하였지만 지금은 기본적인 서버의 구축부터 원클릭으로 다양한 아키텍쳐, 데이터 모델링과 캐시 관리 등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AWS에서 나오는 솔루션이나 아이템들에 관심이 많습니다. 어떻게든 시간을 아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온전하게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AWS는 크나큰 단점이 있습니다. 

 

AWS는 아이템 정의만 해주지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기술을 해주지 않는다.

저도 6년정도 AWS 모델을 사용하였지만, 제일 불편한 부분 중에 하나는 구축을 할 수 있는 가이드가 너무 적다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영상 플랫폼도 존재하지 않아서 유투브를 찾아보고 하였지만, 지금은 정말 많이 개선되어서 찾아보면 다른 개발자 또는 다른 서버 아키텍쳐님이 설정하신 가이드 문서가 자주 보입니다. 그래서 구축하는 것이 이전보다는 수월해지고, 저도 그런 문서를 참조하고 제가 구축한 서버리스 시스템을 블로그에 적고 있지만, 계속 그렇게 적는 것을 보아하니 매번 인터페이스도 변경되고 구축하는 방법도 조금씩 달라집니다. 

(AWS가 너무 일을 열심히 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못 따라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마존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RDS의 문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기만 해도 익숙한 AWS 문서의 포맷입니다.

 

하지만 정작 이 서비스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정의를 명확하게 알더라도, 실제로 구현하는 것은 또 다른 부분입니다. 안그래도 초심자들을 위해서 처음에 가입한 AWS 사용자들을 위해 프리 티어라는 크레딧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튜토리얼부터 실제 서버의 운용까지 구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제한적인 벽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 AWS Summit 과 같은 세미나도 참석하고, 웨비나도 참여해보려고 합니다. 

 

 

 

AWS Summit 

가장 먼저 Summit은 아래 링크에서 보다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events/summits/seoul/

 

AWS Summit Seoul

국내 최대 규모의 IT 컨퍼런스, AWS Summit Seoul 이 드디어 다시 현장에서 여러분들을 만납니다. 최신 클라우드 기술부터 궁금했던 기술 데모까지 모두 만날 수 있는 곳, AWS Summit Seoul로 여러분을 초

aws.amazon.com

 

일정은 2023년 5월 3일부터 5월 4일까지이지만 조기 마감되었네요 🥲

 

여기 세미나에서는 다양한 AWS 아이템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들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 회사의 입장에서는 비용을 줄여주는 가이드를 제공해주고, 다른 회사에서는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하였고 이로 효과를 보는 내용은 무엇인지 상세히 알려주는 것 때문에 계속계속 보게 되더라고요. 

실제로 세미나에 참석하면 위와 같이 정리하기도 합니다

 

 

AWS Webinar 

이전에 웨비나를 진행했던 것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로 코로나 시즌에 많이 웨비나를 활성화했었고, 저도 몇번 들은적 있는것 같은데 들을 때마다 새로운 아이템이 많이 나와서 당황스럽고 메모하기도 바빴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tag/webinar/

 

AWS Webinar | 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AWS 클라우드를 아껴주시는 한국 고객 분들을 위해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부터 이를 활용하는 심화 테크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매월 온라인 세미나를 제공하고 있

aws.amazon.com

 

 

AWS Korea Blog

AWS 한국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블로그도 존재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이 부분을 잘 몰라서 어떤 서비스가 새로 나오고 어떤 분야에서 적용되야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

 

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수백만 명의 시청자가 역사상 가장 짜릿한 월드컵 결승전을 시청하기 3년 전, 프랑스의 선도적인 사설 TV 채널인 TF1은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 채택을 포함하여 방송 플랫폼의 기반을 재

aws.amazon.com

 

 

결론

AWS 문서가 포맷은 익숙하지만 구축하고 설계하는 것은 또 모호한 분야이다보니,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자신이 만들어놓은 AWS 파이프라인(데이터가 보여지는 웹 서버부터 그걸 보여지기까지의 배포 과정)과 어떤 언어를 사용하였는지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작성하면서 지침서가 되고 정리가 되는 것을 보면서, 점점 더 성장한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것들을 참조해서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싶기도 해서 이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