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에 작성해둔 목록을 모아두려합니다. 구현 순서는 1번부터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1. ECS 에서 사용하는 용어 정리
[AWS] ECS 구성하기 전에 용어 정리하기
오늘은 대망의 서버리스 모델인 ECS를 구성해보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그간 EC2만 사용하면서 내부 서버에 Docker Compose 세팅과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Jenkins에서 빌드 배포한 부분을 더 개선
abbo.tistory.com
2. ECS 클러스터 구성하기
[AWS] ECS Fargate Cluster 구성하기
이번 글은 ECS를 구성하면서 가장 기초적인 Cluster를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서버리스 모델인 Fargate 를 기준으로 작성할 예정이고,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경우 세팅법이 조금씩 달
abbo.tistory.com
3. ECS 태스크 구성하기
[AWS] ECS Task 구성하기
이번 글에서는 ECS의 핵심 아이템인 Task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Task는 업무의 단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한 만큼 클러스터 구성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
abbo.tistory.com
4. ECS 서비스 구성하기
[AWS] ECS 서비스 설정하고 실행하기
클러스터 상세 페이지로 들어가게 되면 서비스 내에 생성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생성을 클릭해서 서비스를 구성하여도 되고, 태스크 정의에서도 가능합니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
abbo.tistory.com
5. ECS 태스크 업데이트하기
[AWS] ECS 개정된 Task로 업데이트 하기
이번 글에서는 ECS Task를 개정한 내용을 클러스터에 올려보는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이전에 구현한 ECS Cluster, 작동중인 ECS Service, 개정할 ECS Task 가 필요합니다. 서비스에서 직접
abbo.tistory.com
6. 클라우드워치 사용하기
[AWS] CloudWatch 로 ECS Task 로그 확인하기
ECS 태스크 설정에서 CloudWatch 적용을 걸고 서비스를 실행시키게 되면, EC2의 경우 로그적재가 서버에 자동으로 됩니다. (logback-spring.xml에 설정된 내용처럼) 하지만 Fargate의 경우 로그를 확인할 수
abbo.tistory.com
모아둔 글이 ECS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and Line Interface에서 프로젝트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 (0) | 2023.04.29 |
---|---|
[MySQL] Insert Select 로 한 번에 쿼리 수행하기 (0) | 2023.04.27 |
[AWS] ACM + EC2 로드밸런서로 HTTPS 연결하기 (0) | 2023.04.26 |
[AWS] ECS 개정된 Task로 업데이트 하기 (2) | 2023.04.18 |
[AWS] CloudWatch 로 ECS Task 로그 확인하기 (0) | 2023.04.17 |
[AWS] ECS 서비스 설정하고 실행하기 (4)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