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비는 프로그래밍 언어중에 하나로 순수 객체지향 언어라고도 불리우며 개발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언어라고 합니다. 저도 최근에 이 언어를 접해보았습니다. https://namu.wiki/w/Ruby Ruby - 나무위키 컴퓨터를 배운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당시 이상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는 반드시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고, 가능하면 그런 언어를 만드는 namu.wiki Ruby의 경우 mac은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데 안되어 있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는 방법은 OS에 따라 다릅니다. Debian, Ubuntu (apt-get) $ sudo apt-get install ruby-full CentOS, Fedora, RH..

사용하는 repository가 2개인 경우 브랜치 전환 방법을 살펴보려 합니다. 하시기 전에 주의하실 점은 기존에 소스가 푸시되어있지 않다면 날라갈 수 있으므로 로컬에 백업을 필히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1. 현재 git에 연결되어 있는 remote 를 체크해봅니다. > git remote -v origin https://github.com/account_name/api_source.git (fetch) origin https://github.com/account_name/api_source.git (push) 2. 현재 브랜치 account_name을 upstream_repository 로 변경 git remote rename // ex: git remote rename origin upstream..

저번 글에서 push, pull 까지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작업공간이라고 생각하고 git에서 제공하는 다른 명령어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한 브랜치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일은 정말 많다. 지금 우리 회사에서도 이와 같이 사용하고 있어 종종 소스간에 충돌(conflict)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나누기 위해 브랜치의 개념이 등장하였지만 부득이하게도 같은 브랜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거나, 급하게 서버에 반영을 해야하는 등 브랜치를 사용하기 애매한 시점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가장 먼저 확인할 사항은 소스가 최신화가 되어 있는지 pull을 받는 것이다. pull을 받게 되면 1초 전에 같은 브랜치에 올라간 소스일지라도 체크가 가능하지만, 일일히 소스를 수정할 때마다..

개발하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많은 개발자들이 한 프로젝트 내에서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개인이 작업하는 경우에도 수정한 코드의 관리가 진행이 되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소스 별로 관리를 하는 것 중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Git 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GitHub, Git Bash, SourceTree, BitBucket 등은 모두 Git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웹페이지 및 프로그램이다. GitHub에서는 public으로 제공되고 있는 모든 소스들을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다. 단, private을 사용하려면 일정의 금액을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반면, BitBucket은 기업용으로 주로 많이 사용하고 회사에 소속된 개발자들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