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hor: 주니용 흔히 면접 질문이나 시험 질문에 기본적으로 나온다는 REST, RESTful 방식 프로그래밍 언어가 발달하면서 정말 많은 통신 방식 또한 생기게 되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REST'는 언어마다 하나 이상씩 존재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REST(REpren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 및 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HTTP URI로 자원을 명시하고 Method로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소화할지 의미하는 척도를 정한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흔히 말하는 URL의 상위 개념으로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이 주소의..
Server
2019. 10. 15. 11:3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