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번 글은 우아한 테크코스에서 작성한 글 중 JPA Fetch Join에 관한 글입니다.
JPA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쿼리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QueryDSL이라는 의존성을 주입하여 더 상세하고 복잡한 쿼리를 생성해내고, 해당 엔티티의 Repository를 구현한 RepositoryImpl과 같은 형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복잡한 파라미터 혹은 조인절이 들어가는 경우 대부분 QueryDSL내에서 로직화 시키고, 파라미터 별 분기 내용과 기존에 사용했던 쿼리를 버전 관리용도로 사용하기도 적합한 우수한 성질을 지녔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QueryDSL 또는 JPA를 사용하는 와중 Fetch ON 이 되어도 데이터 조회가 이상하게 되거나, 데이터가 오히려 삭제가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데, 여기에 대한 원인과 분석 내용을 자세히 표현한 글이어서 가져와보게 되었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 번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3-11-01-jpa-fetch-join/
JPA가 Fetch Join에 대한 On절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
JPA가 Fetch Join에 대한 On절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 집사의고민 프로젝트에서 조회 쿼리가 발생할 때 데이터가 삭제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JPA의 Fetch Join…
tecoble.techcourse.co.kr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MSA 분리를 하면서 고려해봐야 할 사항들 (0) | 2024.03.21 |
---|---|
[스타트업] 인프랩의 AWS 비용 최적화 (0) | 2024.03.02 |
Linux 명령어 단축어 만들기 (0) | 2024.01.09 |
데이터베이스 복제에 관한 도움이 되는 글 (0) | 2023.11.27 |
[Spring] OAuth2 SNS 로그인 구현 (0) | 2023.11.17 |
[SQL] 조인 쿼리에 대한 고찰 (1) | 2023.11.14 |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