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번에 소개드릴 글은 인프랩(inflab)이라고 하는 개발자와 IT테크 부분의 강의 플랫폼인 인프런의 연구소에서 올려주신 글입니다. 스타트업 특징 상 서버를 사내에 구축하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곳이 정말 많은데요, 이유는 장비가 정말 고가이고 관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장비를 구매하더라도 일일히 세팅을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스타트업은 장비를 구매하는 대신 아마존 웹 서비스 (AWS) 클라우드 플랫폼을 많이 사용하곤 하는데요, 여기에도 물론 비용이 발생합니다. 다만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율적으로 비용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부분이 있죠.
아래의 글은 제가 지금까지 블로그를 보면서 AWS에서 청구되는 비용 및 세금계산서와 관련된 부분이 가장 잘 드러난 글인 것 같습니다. 저도 주기적으로 궁금증이 생길 때마다 봐야겠습니다.!! 정말 좋은 글을 남겨주신 인프랩 팀과 저자이신 '제이크'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링크: https://tech.inflab.com/20240227-finops-for-startup/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MSA 분리를 하면서 고려해봐야 할 사항들 (0) | 2024.03.21 |
---|---|
Linux 명령어 단축어 만들기 (0) | 2024.01.09 |
[Java] JPA 페치 조인(Fetch Join) (1) | 2023.11.28 |
데이터베이스 복제에 관한 도움이 되는 글 (0) | 2023.11.27 |
[Spring] OAuth2 SNS 로그인 구현 (0) | 2023.11.17 |
[SQL] 조인 쿼리에 대한 고찰 (1) | 2023.11.14 |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