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에 작성해둔 목록을 모아두려합니다. 구현 순서는 1번부터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1. ECS 에서 사용하는 용어 정리 https://abbo.tistory.com/434 [AWS] ECS 구성하기 전에 용어 정리하기 오늘은 대망의 서버리스 모델인 ECS를 구성해보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그간 EC2만 사용하면서 내부 서버에 Docker Compose 세팅과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Jenkins에서 빌드 배포한 부분을 더 개선 abbo.tistory.com 2. ECS 클러스터 구성하기 https://abbo.tistory.com/436 [AWS] ECS Fargate Cluster 구성하기 이번 글은 ECS를 구성하면서 가장 기초적인 Cluster를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이번 글에서는 ECS Task를 개정한 내용을 클러스터에 올려보는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이전에 구현한 ECS Cluster, 작동중인 ECS Service, 개정할 ECS Task 가 필요합니다. 서비스에서 직접 업데이트 하기 위의 그림에서 서비스 상세로 넘어가게 되면 '상태 및 지표' 탭이 보이는 내용이 뜹니다. 여기서 '서비스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현재 작동중인 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화면이 뜨게 됩니다. 새 배포 강제 적용 : 현재 최신 개정으로 되어 있는데 업데이트 하고 싶은 경우 선택합니다. 수동으로 개정 지정하기 : 체크 필요 없이 아래 개정 숫자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 외에 나머지는 모두 Task를 생성하는 글에서 설명한 내용입니다. 여기에서는 로드 밸런서를 연결할..

ECS 태스크 설정에서 CloudWatch 적용을 걸고 서비스를 실행시키게 되면, EC2의 경우 로그적재가 서버에 자동으로 됩니다. (logback-spring.xml에 설정된 내용처럼) 하지만 Fargate의 경우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서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WS CloudWatch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합니다. 오늘은 Fargate 이용중인 서버의 로그 보는 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ECS 만으로는 보기 불편한 로그 시스템 가장 먼저 로그 시스템을 볼 수 있는 방법 중 ECS 자체 내에서 로그를 확인하는 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클러스터 리스트 중 하나의 클러스터로 들어와서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클러스에서 돌아가고 있는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서비스의..

클러스터 상세 페이지로 들어가게 되면 서비스 내에 생성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생성을 클릭해서 서비스를 구성하여도 되고, 태스크 정의에서도 가능합니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s/v2/task-definitions?region=ap-northeast-2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s/v2/task-definitions?region=ap-northeast-2 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 저는 태스크에서부터 서비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사실 클러스터에서 하는 것도 같습니다.) 태스크의 개정 생성 옆에 '배포'라는 드롭다운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CS의 핵심 아이템인 Task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Task는 업무의 단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한 만큼 클러스터 구성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제 껍데기는 클러스터이고 안을 채우고 있는 것은 태스크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1) 태스크 생성 방법 아래 링크로 이동하여 태스크 리스트를 확인한 후 '새 태스크 정의 생성'이라는 버튼을 눌러 '새 태스크 정의 생성' 을 해줍니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s/v2/task-definitions?region=ap-northeast-2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s/v2/task-defi..

이번 글은 ECS를 구성하면서 가장 기초적인 Cluster를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서버리스 모델인 Fargate 를 기준으로 작성할 예정이고,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경우 세팅법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먼저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위해 아래 링크로 이동합니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s/v2/clusters?region=ap-northeast-2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s/v2/clusters?region=ap-northeast-2 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 그리고 '클러스터 생성'을 눌러줍니다. 기본적인 화면입니다. ..

ECS에서 HTTP는 로드밸런서에 걸려있는 리스너들이 작동하면서 변경됩니다. HTTP로 서버를 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HTTPS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작업이 필요합니다. 도메인 준비 (Route 53) ACM(AWS Certificate Manager) 세팅 AWS ECS 가 이미 배포가 된 상태 1. 태스크 설정 기존의 태스크를 띄우는 과정중에서 로드밸런서를 선택할 때 HTTPS 선택이 아닌 HTTP로 먼저 띄웁니다. 그리고 다음에 로드밸런서 설정으로 가서 변경하여야 합니다. 2. ACM 발급하기 다음으로 진행해야 할 것은 도메인으로 만들 ACM을 발급하는 과정입니다. 가장 먼저 아래 링크로 이동합니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a..

오늘은 대망의 서버리스 모델인 ECS를 구성해보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그간 EC2만 사용하면서 내부 서버에 Docker Compose 세팅과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Jenkins에서 빌드 배포한 부분을 더 개선해보고자 하여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고, ECS를 구성하면서 서버리스 모델인 Fargate 까지 같이 사용해보고 싶었던 취지가 있었습니다. 그러면 구성을 하기 이전에 ECS가 어떤 것인지 먼저 알아야합니다. 정리를 하려고 보니 사전에 알아야할게 꽤 많아서 조금 지루하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치만 하나같이 중요한 것들이기도 하고 최대한 읽어보았을 때 알기 쉽게 해석하고자 설명을 적고, 저도 그러면서 다시 공부를 하기 위해 적었습니다 🙏 ECS의 정의 Elastic Container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