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ddhZ/btrTPVrSidx/NR8SMsEvOefOrenDZiBRT0/img.png)
이전 글에서 캐시에 대해 기본적으로 작성을 하였으니 이번에는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에 하나인 레디스에 대해 간략하게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AutoConfiguration 이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 Spring Boot 2.5.0 JDK 11 Java 11 build.gradle 에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줍니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redis' 그리고 추가로 저같은 경우 다른 *.properties 파일을 사용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의존성 하나를 더 추가해주었습니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yXtQ/btrTSLt7LZw/krmefqpEe6wk2K1RoXMsB1/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버에서 자주 사용하는 Spring Framework의 캐시에 대한 정의와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추상화 어노테이션인 위의 3개의 어노테이션와 관련된 기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Spring이 제공하는 캐시는 어떤 일을 할까요? 캐시는 서버의 부담을 줄이고,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같은 파라미터로 넘어오는 요청에 대하여 계산이 복잡하고, 같은 데이터를 여러번 조회하는 것은 서버의 입장으로 큰 손해입니다. 캐시는 값을 저장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응답을 주는 것에 대해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동일한 데이터를 서버의 리소스 낭비 없이 전달해주기 위해 캐시를 적용하였습니다. Spring 도 마찬가지로 이런 점을 반영하여 캐..
최근 4주동안 몸 컨디션이 많이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괜시리 회사가 끝나면 집에 와서 무기력한 기분이 많이 들고, 집에 있다보니 계속 졸음이 많이 쏟아지게 되어 아무런 공부를 하고 싶지 않더라고요. 안그래도 힘든 나날들 중에 시장 상황은 더욱 안좋아지고 물가는 계속 상승하는 이런 시점에서 제가 하는 일이 많이 어렵고 머리가 제대로 돌지 않고 뭔가 정체된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사람들을 만나고 얘기하지만 제가 무슨 얘기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대화를 나누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한 부분이 있었고, 그런 부분이 최근 1달동안 지속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에 돌아와서는 많이 정상화가 되었습니다. 그냥 지금 힘든게 아닌가? 왜 코로나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글을 작성했나? 누구나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가장 ..
오늘은 개발을 진행하면서 저도 공감을 많이했고, 몰랐던 부분에 대해서 새롭게 알게 된 글이 있어서 소개해드리려고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내용은 이전에 커리어리에 올라왔었고, 커리어리에 글을 올려주신 분도 다른 미디엄 링크를 통해서 이 컨텐츠를 알게 된 내용이다 보니 두 개의 링크 모두 하단에 달아드리려고 합니다. 처음 개발을 시작하면 여러 가지 의구심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것이 도움이 될까?' 혹은 '저런 것도 한다고?' 까지.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알게 되긴 합니다. 이번에는 '코딩의 28가지 법칙'을 들고 왔습니다. 이 시리즈는 3편까지 이어집니다. 1️⃣ 질문 하기. 질문하는 것을 두려워 하지 마세요. 제가 확실이 아는 게 하나 있다면,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uRlb/btrThfDAjQt/GBISM6KEYD3AaE8v4njX70/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마트폰의 대표 기업인 삼성의 UX Writing 기법과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글이 올라와 이 글을 보고 제가 느낀 점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와닿은 문구입니다. 사람들은 처음에 '시작하기' 로 딱딱하게 시작하는 것 보다 나를 위한 문구인 '환영합니다!' 라는 문구를 반기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이런 말들이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더 대접받는 느낌이라는 것을 다들 느끼고 계실겁니다 :) 사용자 및 사람이 선호하는 글 디자인 글로써 사용자의 마음을 돌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온 분야는 UX Writing 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신설되었고, 사용자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팀이 구성된 것 같습니다. 숨김 없이 터놓고 얘기하기 사람의 특성상 자신에게 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3MmL3/btrSUrqwdvL/eQ0BmcNizLbER3RzHS0lvK/img.png)
최근에 회사에서 지메일 아이디를 사용하다가 회사 메일주소로 변경하게 되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니 AWS Console 에서는 내용 변경이 안되더라구요. 아래는 AWS IAM Console 입니다. https://console.aws.amazon.com/iam/ https://us-east-1.console.aws.amazon.com/iam/ us-east-1.console.aws.amazon.com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AWS Console 이 아닌 AWS CLI 를 사용해서 변경하는 방법이 있어 글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change-email-address/ AWS 계정 이메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mB1uH/btrTeeE6i7X/fZALHplyH0lCuj7ybY8BHk/img.png)
최근에 대용량 파일 업데이트 작업 중 맥북 로컬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클라우드 서버 안에서는 파일 업로드가 안되고 아예 로그 출력도 안되는 증상이 있어서 대응하면서 알아본 내용을 토대로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서버에서는 nginx를 라우터 뒤 및 컨트롤러 앞 영역에 위치시키고 로드 밸런싱과 포트 라우팅을 주로 진행해주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nginx 를 기반으로 적어볼까 합니다. 가장 먼저 nginx 설치가 완료되고 도메인이 잘 적용이 되었다면 그 다음에 적용해야 할 부분입니다. Nginx 설치 및 설정법 : https://abbo.tistory.com/170 Nginx 설치와 기본 환경 설정 웹서버를 사용할 때 apache와 더불어 nginx 를 많이 사용합니다. 읽을 때는 엔진엑스라고 읽게 되는데..
개발자와 소통하는 것이 어려운 분들이 있습니다. 개발자는 워낙 이런 저런 많은 일을 소화하기 벅차지만 그 전에 알고 있는 배경지식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비개발자분들께서는 개발의 용어를 명확히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획적인 부분의 커뮤니케이션에도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의 입장 파악을 하기 어려운 부분이 맞습니다. 아래에는 제가 읽어본 글 중 좋은 글이 있어 가져와보게 되었습니다. 글 하단에 댓글을 작성하는 부분이 없어 제가 따로 허락은 받지 않았지만, 개발자랑 소통하면서 이런 부분이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글이었습니다. 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https://www.saeyoonjeong.com/blog/product-communication-do-dont 개발자와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