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발자로서 꽤나 경력이 쌓이게 되면서, 모든 일들이 수월하게 끝나면 정말 기분좋고 기쁜일이지만 때때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았고, 실패하거나 제대로 개발이 되지 않는 경우도 크고 작게 많았던 것 같습니다. 사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그만큼 시간을 투자해서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것들을 구현하고 체계를 갖추기도 했지만, 큰 장벽에 맞닿을때도 많았기 때문에 그럴 때마다 힘들기도 하고 괴롭기도 한 적이 많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패하는 개발자들이 어떤 것들이 문제이고 어떤 것들이 개선해나갈 점인 것인지 고민해보고 이런 점들을 피해보면 어떨까해서 작성해보려 합니다.
먼저, 자주 사용했던 ChatGPT에게 물어봤습니다.
여기까지만 답을 들어본다면 틀린 말이 아닙니다. 1번부터 7번항목까지 내용이 충분한 내용이기도 하지만, 지금까지 경험하면서 개발자로서 또는 직장 동료로서 느꼈던 일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도 있고, 아니면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문제들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1. 게으름
모든 사람들이 같은 성격을 지닐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런 게으름들이 업무를 진행하는데 지연이 된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기 전에 궁금한 사람이 주도적으로 서치하려는 습관이 중요하고 필요합니다. 게으름을 잘 활용하면 도움이 될 때도 많습니다. 휴식을 취하거나 이런 리프레시를 업무에 탄력성을 가미하는 요소로 사용할 수도 있죠. 하지만 지나치면 좋지 않습니다.
2. 남 탓
어떤 일이던지 마찬가지겠지만, 업무 능력이 부족하고 업무 수행이 제대로 안된다는 것을 다른 사람이 잘못되었다는 것으로 돌려버리게 되면 일의 진행이 어렵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이 완벽할 수는 없고, 기계가 아니다보니 일부 소프트웨어 또는 비즈니스에 오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를 그저 안된다고 치부하고 화살을 돌리는 것은 좋지 못한 생각입니다.
3. 우선순위와 판단력의 부족
진행하는 일들의 프로세스가 복잡해지는 경우, 그리고 그런 일들이 여러 개가 쌓이는 경우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잡고 판단해야 하는 순간들이 옵니다. 급하게 업무를 마무리 지어야하는 것, 그리고 그런 업무들을 잘 정렬해서 처리해나가는 스킬이야 말로 모든 직군, 특히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요소입니다. 주로 핫픽스를 처리하거나 버그를 잡는데 일이 수월하게 내가 개발한 코드여서 시간이 조금만 소모될 수도 있지만, 내가 작성한 소스가 아니면 먼저 소스 코드의 분석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의 경우는 이런 수순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 내가 작성하였고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경우
- 다른 사람이 작성하였지만 급하게 처리하는 경우
- 다른 사람이 받은 업무가 내가 작성한 소스코드와 연관이 있고, 이 부분이 고쳐져야 하는 경우
- 내가 해야할 업무
4. 감정 조절의 부족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라는 에세이 책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그런 기분을 잘 활용해야 내가 살아가는데 밑거름이 되고, 나를 안좋은 기분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요령에 관해 설명해줍니다. 책 제목에서 아시듯 감정이 있기에 사람이고 그러기에 무엇을 결정하거나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차질이 될 수도 있죠. 개발자는 처한 환경과 상황이 열악할 수 있습니다. 누구에게 대화하면서 감정을 삭히는 일이 드물고 그러다보니 대화하는데 미숙할수도 있습니다. 더군다나 기본적이 성향이 민감하기까지 하다면 이런 것들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습니다.
5. 독단적으로 하려고 함
추진력도 좋은 개발자가 되는 것에 좋은 요소이지만, 때로는 다른 사람들이 보았을 때 위선적인 행동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코드 리뷰를 수행하는 것도 좋지만 코드 리뷰가 나에게 별로 득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때문에 성실히 임하지 않는 것입니다. 코드 리뷰는 같이 협업을 진행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요소중에 하나입니다. 무차별적인 승인은 자신에게, 그리고 팀에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더 많은 내용들이 개발자로서 발목을 잡는 순간들, 그리고 그런 위기들이 있습니다. 잘 대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그 건이 대처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닌 다음 상황에도 이렇게 대처를 할 수 있느냐는 마인드는 다른 사람이 알려주는 것이 아닌 오롯이 본인이 잡아야하는 것이겠죠.
끝으로, 위에서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내용에 대해 해결책도 물어보면서 글을 마무리 지으려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을 다니면서 직업이 필요할까요? (4) | 2023.03.29 |
---|---|
[ChatGPT] 1억권 읽은 AI vs 1권 읽은 사람 (0) | 2023.03.28 |
[IntelliJ IDEA] 구글링 쉽게 하기 (0) | 2023.03.07 |
[Chat GPT] 소름끼치는 내용과 버전 4는 언제 나올까 (0) | 2023.02.27 |
인프런 '김영한'님 초청 라이브 방송 보고 배운점 정리하기 (0) | 2023.02.11 |
현직 개발과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의 관계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