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ChatGPT 관련해서 크롬 익스텐션을 추천드리려고 합니다. 다들 ChatGPT로 많이 물어보고 계시죠? 먼저 제가 사용하고 있는 플러그인들 중에 액세스 허용이 된 리스트를 보여드리고 글을 작성해볼까 합니다. 1. ChatGPT for Google 이 플러그인은 구글 검색시 옆에 추가되는 내용입니다. 궁금한 개발 내용을 보통 Google에서 검색할 때가 많은데 이 플러그인은 설치되면 알아서 검색엔진이 작동하여 ChatGPT에도 물어보기 때문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a. 설치 방법 해당 링크로 이동하여 Chrome Extension을 추가합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chatgpt-for-goo..

이번 글에서는 제가 블로그를 운영하고 글을 작성하면서 느꼈던 좋았던 점과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개발자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는 대부분의 다른 직업군들 그리고 개발자 연관직종의 분들은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혹시나 정확하게 개발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기 어려운 분들께서는 아래 제가 적어놓은 글을 보고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1. 내 스스로 깊은 지식이 된다. 아무래도 직접 개발해봤고 테스트해본 제 경험들을 위주로 기록을 하다보니, 다음에 큰 틀이 바뀌지 않는 이상 거의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입니다. 이를 제가 스스로 알려주고 그것을 더 기억할 수 있는 지식이라 "깊은 지식"이라고 표현해봤습니다. 내가 제대로 알고 있다보니 다른 직원이나 사람..

오늘은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이 대부분 비개발자임을 감안하거나 개발자인 분들이 보셨을 때 대기업이나 스타트업에서는 개발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궁금하실 것 같아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개발자라는 직군이 낯설고 어려운 분들이 굉장히 많으실 겁니다. 개발자라는 직업군은 그저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으로 알고 계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직군을 가진 분들과 협업을 하면서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들이 훨씬 많습니다. 먼저 개발의 프로세스를 간략히 설명해보면, 큰 기업일수록 더 많은 인력이 존재하고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소수의 정예 인력으로 팀을 구성하고 어떤 개발을 진행할지에 대해 크게 두개의 부류로 나뉩니다. 1. 큰 기업인 경우 기업의 규모가 크고 ..

프론트엔드 개발자 정종윤님이 운영하는 닉네임인 재그지그에서 올라온 아티클로 글을 작성할 때 저도 참고할 내용인 것 같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 https://wormwlrm.github.io/2022/08/20/Personal-Branding-from-Technical-Writing.html 기술 글쓰기를 통해 개인 브랜딩을 구축하는 나만의 방법 - 재그지그의 개발 블로그 기술 포스트 발행을 개인 브랜딩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wormwlrm.github.io 아티클의 제목에서도 나와있지만 개인 브랜딩 뿐 아닌 제가 배운 내용들에 대해 간단히 회고해보려 합니다. 해당 내용에서는 글을 작성하기 전 미리 시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작성할 때 유의해야할 점, 내가 작성한 ..

직장을 다니면서 직업을 가진다는 것은 조금 의아한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직장을 다니면 이미 직업이 있는것이 아닌가? 라는 질문이 당연히 생길 수 있지만 직업은 내가 지금 당장 직장을 그만두더라도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진행하는 것이 직업이기 때문에 둘은 분리가 되어야 합니다. 아래는 세바시에 올라온 유투브 영상 링크인데, 여기서는 더랩에이치 대표님인 '김호'님께서 설명해주시는 내용 영상입니다. https://youtube.com/watch?v=600GX4LtZe4&feature=share 이 영상에서 나온 내용과 제가 생각해본 내용을 아래에 다시 요약해볼까 합니다. 1. 직업을 만들기 위해 나만의 시간을 투자하라 나만의 직업을 가지는 것은 한 순간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최대한 내가 직업을 가질 수 있고..

요새는 ChatGPT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얻는 것이 일상이 된 시대입니다. 이런 호기심들 속에서 생각해본 것중 하나로 제목과 같이 1억권의 지식을 습득한 AI와 책 1권을 빠삭하게 읽은 개발자중에 어떤게 유리할지 고민해본 내용을 적어보려 합니다. 참고로 해당 내용은 주관적인 내용이 다소 반영되어 있다보니 모든 것이 정답이라는 것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1. AI 는 연산이 약하다. 언어모델로 지식을 습득한 AI는 수학에는 특히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나 큰 수를 더하는 경우 (예시: 14892576943 + 3950604982 등)도 틀리게 되는데요, 수학 책을 한번이라도 공부한 사람이면 9+1은 10으로 자리수가 한개 올라가는 것을 대부분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수학적 지식이 많은 AI는 공식을 쓰거..

개발자로서 꽤나 경력이 쌓이게 되면서, 모든 일들이 수월하게 끝나면 정말 기분좋고 기쁜일이지만 때때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았고, 실패하거나 제대로 개발이 되지 않는 경우도 크고 작게 많았던 것 같습니다. 사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그만큼 시간을 투자해서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것들을 구현하고 체계를 갖추기도 했지만, 큰 장벽에 맞닿을때도 많았기 때문에 그럴 때마다 힘들기도 하고 괴롭기도 한 적이 많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패하는 개발자들이 어떤 것들이 문제이고 어떤 것들이 개선해나갈 점인 것인지 고민해보고 이런 점들을 피해보면 어떨까해서 작성해보려 합니다. 먼저, 자주 사용했던 ChatGPT에게 물어봤습니다. 여기까지만 답을 들어본다면 틀린 말이 아닙니다. 1번부터 7번항목까지 내용이 충분한 내용이기도 ..